본문 바로가기
표면처리

분극의 개념

by 비더원 리차 2020. 10. 27.
300x250

이전에 공부를 하면서 요약했던 내용입니다

물론 세월이 세월인지라 기억은 가물가물 하지만

 

현업을 하면서 그렇게 생각은 많이 안하기에 그렇기도 하지만...

그래도 주저리 주저리..ㅋ

 

 

산화와 환원이 가역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을때 반전지는 평형 전위를 갖는다.

전극전위가 평형전위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분극이라고 하고 분극의 정도를 과전압이라고 한다.

 

활성화 분극

금속표면과 용액계면에서 전하의 교환에 의하여 지배적으로 일어날때 이러한 전극반응을 활성화 분극이라고 함.

금속이 이온화 하여 용해 하거나 음극반응을 일으키는 수소의 환원과정에서의 기체 생성과정

 

농도분극

용액중의 양이온은 수화상태에서 음극으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음극으로 확산 이동한 양이온은 탈수하여 전자와 결합,환원석출이 된다.

이때 양이온의 농도가 희박하거나 혹은 음극에서 빠른 속도로 석출이 되게 되면 양이온의 농도차가 발생되게 된다.

즉 전극 가까운 곳에서는 양이온의 농도가 희박하게 되고 , 전극에서 용액쪽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양이온의 농도는 커진다.

이와 같이 양이온의 농도차에 의해서 형성되는 분극을 농도분극이라 한다.

혼합분극

활성화 , 농도 분극은 함께 일어남

반응 속도가 낮을때는 활성화 분극 반응이 지배적이고

반응속도가 증가하면 농도분극 반응이 지배하게 됨.

저항분극

석출된 금속은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런 산화피막이 표면에서 저항체의 역할을 하게 될때 저항분극이 걸리게 된다.

300x250

'표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의 부동태란?  (0) 2020.12.23
반사방지 표면처리란?  (0) 2020.12.14
부식에 대해  (0) 2020.12.13
도금전처리 (탈지)  (0) 2020.10.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