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표면처리5

금속의 부동태란? 부동태의 정의 부동태란? 활성인데도 불구하고 대단히 느린 속도로 부식되는 상태를 부동태화 되었다라고 한다. 부동태에 관한 두가지 정의는 화학적,기계적 부동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에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화학적 부동태 금속 또는 합금의 전기화학적 거동이 현저하게 불활성인 귀(noble)한 금속의 전기화학적 거동에 접근할떄, 그들은 부동태이다. 이에 속하는 금속은 대부분 전이금속이고 화학적 부동태의 생성원인은 불용성 보호피막이 생성됨으로써 전위가 귀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기계적 부동태 금속 또는 합금이 열역학적으로 부식의 경향이 크더라도 실제 부식이 되는 속도가 느리면 그들은 부동태이다 .이는 다소 기공성이 있는 염의 층(layer)의 생성되어 발생한다. 부동태 금속의 특성 .. 2020. 12. 23.
반사방지 표면처리란? 반사방지 표면처리란? 내반사성 코팅기술은 굴절률이 조절된 단일물질 또는 다층구조로 코팅하여, 빛의 반사를 최소화 하고 투과를 최대화 하는 기술로써 반사를 최대한 줄여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 하는 기술이다. 초발수성 내지문성 코팅은 고체표면에 젖음성을 제어하여 스스로 디스플레이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고, 연잎 위에서 일어나는 표면장력을 모방하여 , 먼지나 이물이 물체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연잎효과 라고도 한다. 반사방지 표면처리기술 현재 다층막 구조에 의한 굴절율 차이를 이용한 구조형성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굴절률 차이가 나는 서로다른 물질을 다층으로 증착하고 맨 상부층은 내지문성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반사방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나 , 터치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2020. 12. 14.
부식에 대해 부식이란 ? 환경중의 물질과 불필요한 화학(전기)반응에 의해 물체가 소모되어 가는 현상을 부식이라 한다. 부식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면 1.직접부식 수분을 수반하는 경우의 부식인 일종의 습식(wet corrosion)이며 수용액에 의한 부식을 화학적부식이라 함. 예를들면 철강을 산세 할때 철강표면을 산이 용해하는 현상이 직접부식이다. Fe+2 + 2H+ --> Fe+2 + H2(가스) 2. 전기화학적 부식 전기화학적 부식도 습식의 일종이며 국부부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해수 속에 있는 소금은 그대로는 철과 반응하지 않으나 소금물과 같은 전해질은 전지구성으로 철이 양극으로 될때 이와 같이 소금은 바닷물속의 주성분인 자연계에도 가장 많이 있는 염으로서 지하수 등과 녹아서 철의 부식을 가속화 시키고 있.. 2020. 12. 13.
분극의 개념 이전에 공부를 하면서 요약했던 내용입니다 물론 세월이 세월인지라 기억은 가물가물 하지만 현업을 하면서 그렇게 생각은 많이 안하기에 그렇기도 하지만... 그래도 주저리 주저리..ㅋ 산화와 환원이 가역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을때 반전지는 평형 전위를 갖는다. 전극전위가 평형전위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분극이라고 하고 분극의 정도를 과전압이라고 한다. 활성화 분극 금속표면과 용액계면에서 전하의 교환에 의하여 지배적으로 일어날때 이러한 전극반응을 활성화 분극이라고 함. 금속이 이온화 하여 용해 하거나 음극반응을 일으키는 수소의 환원과정에서의 기체 생성과정 농도분극 용액중의 양이온은 수화상태에서 음극으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음극으로 확산 이동한 양이온은 탈수하여 전자와 결합,환원석출이 된다. 이때 양이온의 농도가.. 2020. 10. 27.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