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표면처리

도금전처리 (탈지)

by 비더원 리차 2020. 10. 27.
300x250

도금을 하면서 때론 간과할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절대 간과해서는 안되는 부분,,,

 

 

전처리 불완전으로 오는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 불량의 50%가 전처리에서 기인한다고 함)

도금의 밀착이나 외관에 영향을 줄수 있는 해로운 막의 제거가 필요하다.

주로 많이 하고 있는

알카리침적탈지 , 전해탈지 , 초음파 탈지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알카리 탈지

금속표면에 붙착된 유지류를 크게 나우면 검화유지(동식물유)와 불검화 유지(광물유)로 나눌 수 있다.

금속표면에 유지류를 침윤해서 유지냅에 침투 , 이것을 팽창시켜 유지와 금속간의 부착력을 약하게 함.

 

알카리 탈지제의 조건

1. 유지를 용해하는 동시에 염기성 용액

2. 금속표면의 교질상 고형분을 분산하는 작용

3. 부화작용을 하는것

4. 표면장력이 낮을 것

5. 화학약품과 열에 안전

6. 부식성이 약하고,낮은농도로 사용 가능 할 것

7. 수세가 쉽게 되고 독성이 약할것

 

전해탈지

 

말그래도 전원인가를 통해 가스발생의 힘으로 탈지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법이며

장점은

1. 전해에 의해 음극 또는 양극에 발생하는 가스의 발생의 힘에 의한 제거가 가능

2. 수소가스 발생과 동시에 알카리가 생김으로써 강알칼리가 되어 유지의 비누화를 가속

    2Na+2H2O → 2NaOH +H2(가스)

3. 음극에 발생하는 수소에 의한 금속의 환원

4. 양극탈지인 경우는 양극에 발생하는 산소에 의한 더러움 산화

 

결점으로는 

1. 음극 탈지의 경우 음극에 생기는 철강등의 수소취성

2. 불순물의 흡착 또는 전착

3. 전기적으로 불균일시 탈지효과의 불균일

4. 발생 가스의 미스트 공해와 폭발의 위험성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금속에 따라 음극,양극,혹은 교대로 하는것이 좋은지에 대해 선택을 해야함.

 

니켈,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같은 산화에 의해 부동태가 되기 쉬운 금속은 음극탈지를 해야함.

아연이나 아연다이캐스팅의 경우는 음극탈지시 강알카리가 음극면에 생김으로 금속표면에 침식을 당함으로 양극탈지를 해야함.

 

초음파탈지

교반이나 진동을 주면 탈지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들액에 초음파 진동을 주면 더욱 효과적으로 탈지가 되며 떨어지기 힘든 고형물이나 구석에 있는 더러움도 쉽게 제거

초음파를 액체중에 방사하면 공동현상(cavitation)이 생기기때문이며 이때 액체가 심하게 충돌을 하여 매우 큰 충격의 압력이 생김

 

 

탈지용 알카리염류

가성소다는 알카리가 발생하는데 가수분해 과정을 거치지 않음 NaOH → Na+ + OH-   와 같이 OH- 가 전부 전리해 버림 그래서 작업간 알칼리도의 보충은 없으며 소모로써 끝나게 됨 알카리 보유가 중요한 요소이며 알카리이온이 한꺼번에 방출되면 강알카리가 되어 금속에 해로울수 있음 (OH)-기는 알카리의 대표적인기이며 탄소고리의 방청류등을 절단하는 비누와 작용의 대표적인 물질이다. KOH 와 NaOH가 있는데 Na보다는 K가 전해상수가 더 커서 세척의 효과가 더 크다.

 

계면활성제

물과 기름을 넣고 방치하면 상층에는 기름이 하층에는 물이 두층으로 분리 된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기름은 미세한 입자로 되어 물속에 분산되어 유화된다. 더욱 계면활성제를 증가시키면 기름이 모두 용해되어 투명하게 된다.  그 이유는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와 친유기로 되어있어 두층이 미세하게 혼합이 되기 때문이다 친수기는 물속으로 친유기는 기름속으로 들어가서 서로 맞붙게 이어주기 때문이다.

 

지나친 계면활성제 량은 후 수세가 불충분할 경우 도포거품에 영향을 줄수 있으므로 일정이하 관리가 좋다.

300x250

'표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의 부동태란?  (0) 2020.12.23
반사방지 표면처리란?  (0) 2020.12.14
부식에 대해  (0) 2020.12.13
분극의 개념  (0) 2020.10.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