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가
전 국토가 조정지역이면
어디가 청정? 지역인건가?....
실거주 1주택자는 걍 좀 살려주라
뭔 정책을 남발하니...20 몇번째드라?
에라이 걍 묻고 더불고 가자...
조정1,2,3으로 나누고
특 투기 지역 , 초특 투기지역 이렇게
세부 구분을 할꺼니??? 코로나도 3단계에서
5단계로 쪼개더니 ㅋㅋㅋ
정책을 내는 사람들은 정말로 신중히 생각하고
각기 다른 구성원들에게 나올 수 있는
파장에 대해서도 케이스별로 세분화 하여 고민에 고민을 하시고 정책발표를 하셔여죠......^^;
어라 이렇게 하니 이리 또 몰리네
그래? 그럼 여기도 규제하자
저 잘했죠?
요즘에 돌아다니는 국토 모습이랍니다.... 쩝
뛰는 지방 집값에 규제지역 무더기 지정 '강수'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정부가 최근 집값이 강세를 보이는 창원시 의창구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다.
부산 9곳, 대구 7곳, 광주 5곳, 울산 2곳, 파주·천안·전주·창원·포항 등 총 36곳은 조정대상지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부동산 규제 풍선효과(PG)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토교통부는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최근 집값 과열 현상이 벌어진 이들 곳을 조정대상지역 등으로 신규 지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방 광역시에선 부산과 대구, 광주, 울산 등 4개 시 23곳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부산의 경우 서·동·영도·부산진·금정·북·강서·사상·사하구 등 9곳에 달한다.
대구는 중·동·서·남·북·달서구, 달성군 등 7곳, 광주는 동·서·남·북·광산구 등 5곳, 울산은 중·남구 등 2곳이다.
이 외에 지방 도시에선 파주와 천안 동남·서북구, 논산, 공주, 전주 완산·덕진구, 창원 성산구, 포항 남구, 경산, 여수, 광양, 순천 등 11개 시 13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였다.
이들 지역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규제지역이 지정되면서 투자 수요가 막히자 풍선효과로 최근 집값이 뛰고 분양시장은 과열되고 있다.
창원 의창구는 조정대상지역보다 규제 강도가 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다.
창원의 경우 성산구와 의창구 아파트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외지인 매수 비중도 늘고 있다고 국토부는 진단했다.
또 고가 신축단지 투자 수요와 구축 단지에 대한 갭투자도 늘어나 전반적으로 과열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 국토부의 판단이다.
앞서 창원시는 스스로 성산·의창구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지정을 건의하기도 했다.
국토부는 의창구의 경우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정량요건은 충족했으나 조정대상지역 요건에는 맞지 않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조정대상지역은 3개월 주택가격 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의 1.3배를 초과하는 등 정량요건을 충족한 지역 중 여러 상황을 종합해 과열로 판단된 곳을 선정한다.
투기과열지구는 주택가격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현저히 높은 지역 중 청약경쟁률이 높거나 주택공급량 급감해 가격 상승 우려가 있는 지역 중에서 지정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광역시와 인구 50만 명 이상 도시는 정량 요건을 충족하면 가급적 지정하고, 50만 미만 중소도시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률이 높고 인근 지역과의 연계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선정했다"라고 밝혔다.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 효력은 18일 0시부터 발생한다.
이와 함께 기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인천 중구, 양주시, 안성시 일부 읍면 지역은 규제지역에서 해제됐다.
이들 지역은 6·17 부동산 대책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으나 집값 상승률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이로써 조정대상지역은 111곳, 투기과열지구는 49곳이 됐다.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9억 원 이하 구간은 50%, 9억 원 초과분은 30%로 제한되고 총부채상환비율(DTI)은 50%가 적용되는 등 각종 대출 규제를 받는다.
또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이 한층 강화되고 청약은 1순위 자격 요건이 높아지는 등 각종 규제를 받게 된다.
투기과열지구는 LTV가 9억 원 이하면 40%, 9억 원 초과는 20%가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를 비롯해 분양권 전매 제한과 같은 정비사업 규제 등 다양한 규제를 받게 된다.
정부가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을 대규모로 지정한 것은 지난달 19일 부산 해운대와 수영, 대구시 수성구, 경기 김포시 등 7곳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한 지 한 달만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217150651003?input=1195m
창원 의창구 투기과열지구…부산·대구 등 36곳 조정대상지역(종합) | 연합뉴스
창원 의창구 투기과열지구…부산·대구 등 36곳 조정대상지역(종합), 윤종석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20-12-17 17:38)
www.yna.co.kr
'40대 가장의 일상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캐나다 마그나와 전기차 파워트레인 합작사 설립 (1) | 2020.12.23 |
---|---|
[스마트스토어] 직장인 부업 , 나도 한번 해볼까? (0) | 2020.12.15 |
[N잡러시대] 직장인 부업? 당신은 어떤 준비를? (2) | 2020.12.14 |
코로나19 , 거리두기 3단계? (0) | 2020.12.13 |
댓글